고교 학점제 란? 우리 아이에게는 어떨까?
고교 학점제 란?
2025년부터 변경되는 교육제도로 현재 초등학교 6학년 아이들이 고등학생 때부터 변경되는 교육제도입니다. 고교 학점제라는 단어처럼 고등학교 때도 대학생들처럼 학생 개개인이 필요한 과목을 선택하여 수강하는 제도이죠. 또한 2019년도부터 진로선택과목에만 적용되고 있었던 성취평가제를 2025년도부터 모든 과목에 적용한다고 합니다.
먼저 고교 학점제를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자세히 말씀드리겠습니다. 고교 학점제란 학생들이 공통된 과목을 이수한 후에, 진로나 적성에 따라 과목을 선택해서 이수하고, 그 기준에 도달한 과목에 대하여 학점을 취득하여 졸업하는 제도입니다.
쉽게, 졸업 학점이 100학점이라고 가정한다면 50학점이 공통 학점 + 50학점이 선택과목 학점 등으로 학점을 취득하여 대학교처럼 졸업을 하는 제도랍니다.
학점은행제와도 비슷하네요.
이 고교학점제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점은 위의 공통과목이 아닌 선택과목 들은 모두 5단계로 성취평가제로 전환된다는 점입니다. 예로 쉽게 대학교와 같이 A부터 F까지 학점들이 있는 것이죠.
그럼 성취평가제는 무엇일까요?
대학교의 학점제도와 다르게 고교학점제에서의 알파벳의 의미 또는 서열의 의미는 상대 평가를 뜻하는 게 아니랍니다. 정책의 지침과 의도상 학생이 무엇을 얼마만큼 성취했는지를 평가한다고 하며, 국가 교육과정 등에 근거하여 개발된 교과별 성취기준에 도달된 학생의 학업 성취 수준을 평가해 알파벳으로 성취도를 부여한다고 합니다.
즉, 현재의 등급제도와 다르게 상대적인 서열로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성취기준에 따른 도달 정도를 판단하는 것이죠. 어떻게 보면 절대평가에 더 가깝다고 할 수 있습니다.
왜 성취평가제로 고교학점제가 도입이 될까?
성취평가제가 도입된 이유는 현재의 제도와 관련이 있습니다. 현재의 제도는 상대평가의 구조상 이수한 학생의 수에 따라 석차 등급의 유불리가 발생했습니다. 그래서, 학생들 본인에 적성 혹은 진로에 맞는 교과목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높은 석차를 받는 데에 급급하여 쉽고 점수를 따기 좋은 과목을 선택하는 등에 문제가 있었죠.
한마디로, 학생들이 이런 적성과 진로가 아닌 석차에 급급한 현 상황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반영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고교학점제에서 성취평가제가 갖는 장점
현직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성취평가제 이후 가장 눈에 띄는 변화에 대해 40퍼센트 이상의 교사들이 답한 내용은 바로, '학생들의 석차 혹은 등급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자유로운 과목 선택을 유도한다'는 점이었습니다.
개인적인 견해로 이 부분은 학생들에게도 굉장히 체감이 잘 될 것 같습니다.
고교학점제에 대한 우려
고교학점제에 대한 가장 큰 우려는 바로 대학 입시에 대한 문제입니다. 상대평가가 아닌 만큼 현재의 제도보다 변별력이 떨어진다는 것이 사실이며 A부터 E까지 총 5단계로만 나누어서 평가를 하기 때문에 각 종 성적 자료들을 평가에 어떻게 분별력 있게 반영할 것인가 바로 그 이유이죠.
제도에 대한 개인적인 견해(우리 아이에겐 어떨까?)
학생들의 진로와 적성에 맞춰 교과목을 선택할 수 있다는 점은 교육 선진국으로 갈 수 있는 시발점이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이 부분은 진로와 적성이 고민되었던 학생들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죠.
그러나 과연 아직까지도 대학 입시 문제가 만연한 우리 사회에서 현실적인 적용이 가능할 것인가 라는 의문이 생기고, 괜히 바뀌게 되는 제도로 인해 학생들만 피해를 보는 것이 아닌지 걱정이 되는 것도 사실입니다.
또한 반대로 혹여나 상대평가를 희망하는 학생들이 있을 수도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듭니다. 복잡하지만 아무튼 앞으로 자라날 우리 아이들은 교육 제도 및 입시에 대해서는 갈등을 겪지 않았으면 하는 마음으로 글을 마무리하겠습니다.
'정책과 제도(polic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육아휴직 급여신청 그대로 따라하기! (0) | 2021.05.24 |
---|---|
내일배움카드 신청자격, 신청방법 그대로 따라하기! (0) | 2021.05.23 |
차상위계층 기준 및 신청 나도 가능할까요? (0) | 2021.05.20 |
청년수당 받는 꿀팁 공유합니다!(청년지원금) (0) | 2021.05.19 |
5030 정책 , 안전속도 5030 정책 모르면 과태료 폭탄이에요! (0) | 2021.05.18 |
댓글